안약 투약 시 명칭 및
함량, 용량의 정확한 확인에 유의하여 아래와 같이 사용
1. 오염이나 감염 예방을 위해 손을 깨끗이 씻는다.
2. 고개를 뒤로 젖히거나 눕는다.
3. 점안할 때 병이나 연고튜브 끝이 눈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아래 눈꺼풀을 당겨 약액 공간을
만들고 지시된 양을 정확히 점안한다.
4. 안약을 넣고 나서 눈을 감고, 비루관을 1분간 눌러 전신 흡수를 막는다.
5. 2종류 이상의 약을 점안할 때에는 5분 이상의 투약 간격을 둔다.
6. 개봉된 안약은 실온에서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며 개봉된 안약의 사용기한은 잘
보관했을 경우 1달로 제한한다.
1. 우선 손씻기는 유행성 전염병을 막을 수 있는 제일 중요한 키포인트입니다.
안과 의사선생님들이 유행성 바이러스 눈병이 돌 때 백 명 이상의 환자를 진료하고도 눈병이 옮지
않는 것은 환자를 쳐다보는 것으로는 전염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철저한 손씻기와 눈에 손을 대지
않는 습관으로 인해서 눈병을 예방할 수 있지요. 병이나 연고 끝이 눈에 닿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도 치료도중의 재감염을 막기 위한 것입니다.
2. 비루관을 1분간 눌러주는 이유를 알아볼께요.
점안약을 넣고 쓴 약물이 목으로 내려와 괴로웠던 경험이 한두 번씩 있으시지요? 점안약의 일부는
누관(눈물관)에서 누낭(눈물주머니)을 거쳐 비루관(코눈물관)으로 이행을 한 후 점막에서 전신으로
흡수가 되지요. 눈을 많이 깜빡 거리면 결막낭(눈꺼풀안쪽) 안에서의 배설이 매우 빨라지기 때문에
천천히 눈을 감고 누낭부를 눌러 압박하여 비루관으로 약물이 덜 가게 만들어 주면 전신성 부작용을
줄일 수 있겠지요.
3. 왜 2종류 이상의 안약을 점안할 때 5분 이상의 점안간격을 두어야 하는
걸까?
두 가지 점안약을 동시에 사용하면 먼저 점안한 약액이 밀려 내려가기 때문에 5분 정도의 간격을
두어야 합니다. 5분 정도면 처음 흡수된 약의 98%는 이미 소실된다고 하네요.
그럼 어떤 순서로 안약을 넣으면 될까요?
우선 현탁성 점안약의 경우엔 물에 잘 녹지 않아 눈 표면에 체류되는 시간이 길고 눈 안으로 잘
이행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하면 나중에 점안을 합니다. 또 유성점안액이나 안연고의 경우에도 수성점안액을
겉돌게 하기 때문에 나중에 점안을 합니다. 인공눈물 점안약의 경우는 일반 액제 점안약보다 점도가
높아서 흡수시간이 좀 더 길어지므로 일반 액제 점안약보다는 나중에 그러나 현탁액보다는 먼저 점안을
하도록 합니다.
이러한 기준으로 안약의 순서를 지정해서 일반적인 눈병이라면 일반 액제 안약 ? 인공 눈물 안약
? 현탁액제 ? 안연고의 순서로 넣도록 하고 녹내장이나 백내장 약이 인공 눈물 안약과 같이 나오면
주치료약을 나중에 점안하도록 합니다.
4. 의사의 지시대로 점안하지 않고 약을 많이, 자주 점안하면 좋다고 생각하는
경우..
눈꺼풀의 용적은 1방울(=0.05ml)이하라서 그 이상이 되면 다 흘러나오기 때문에 이론상으로는
1회 1방울을 점안하는 것이 맞지만 정확히 점안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2~3방을 까지 점안할
수도 있습니다. 자주 점안하게 되면 눈 안의 약물 농도가 높아지지만 그렇다고 흡수율이 올라가거나
약효지속시간이 연장되는 것이 아닙니다.. 즉 빨리 낫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5. 이번엔 안약의 사용기간에 대해 알아볼까요?
점안약은 일단 개봉하면 세균에 오염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1회용이 아닌 이상 모두 방부제를
배합하여 제조됩니다. 가장 대표적인 방부제로는 안정성과 뛰어난 항미생물 작용, 긴보존기간의 장점을
지닌 염화 벤잘코늄(BAK)을 들 수 있습니다. 이 BAK 0.01% 1방울은 눈물층 외면의
지질층을 파괴하여 수많은 기름방울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방부제가 들어간 안약의 잦은 점안은
눈물층 외면의 지질층을 파괴하여 더욱 불안정한 눈물층을 만들게 되고 이로 인해 건조증이나 독성
결막염 등을 유발할 수도 있어요. 따라서 BAK는 인공눈물의 보존제로는 부적절하지만 국내 시판
인공눈물 안약의 보존제는 대부분 BAK입니다.
약의 사용기한은 유효성분이 90%이상 존재하는 기간으로 정하는데 안약의
경우에는 실온에서의 한 달이 염화 벤잘코쥼의 방부효과가 더 이상 지속되지 못하는 시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