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06월
신약소개     보험정보   NEWS
 
 
과민성 혈관염의 약물치료학

개요

과민성 혈관염 (Hypersensitivity vasculitis, HV)은 백혈구파쇄성 혈관염 (Leukocyticlastic vasculitis, LCV)으로도 불리어지는 미소혈관염으로 보통 동맥과 정맥의 소혈관 특히, 모세관후세정맥 (post-capillary venules)에서 발생하기 쉽다. 발병 원인으로 약물, 감염, 전신적 자가변역질환 등이 알려지고 있으나 아직 정확한 병인은 파악되지 않는다. 이들 원인에 의해 과민성 혈관염은 다형핵백혈구 (Polymorphonuclear leukocytes)가 혈관벽과 주위조직에 침습함으로써 미세출혈을 일으켜 대표적인 임상적 양상인 촉지성자반 (Palpable purpura)을 나타낸다. 과민성혈관염의 가장 일반적인 병변은 촉지성자반, 홍반성구진 (Erythematous papules), 수포 등이며 대부분의 환자는 열, 관절통, 피로감, 소화기 통증 등의 전신적 증상을 호소하게 된다. 과민성 혈관염은 피부에 국한되어 발생되지만 드물게 소화기나 신장 등의 장기에서도 발생될 수 있다. 내부 장기에 병변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의 예후는 비교적 양호하다. 질병의 양상은 급성, 재발성 또는 만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대부분의 환자는 전신적인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한다.

1. 역학 (Epidemiology)
 ■ 발생빈도 (Incidence)
   아직 정확한 발병빈도에 대한 통계적 수치는 보고되지 않앗으며 스페인에서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괴민성 혈관염의 발병빈도는 연간 백만명당 10~30사례가 발생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① 인종 : 백인에서의 발병률이 높다
   ② 성별 : 일반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발병률은 유사한 것으로 알려짐
                  최근 스페인에서 수행된 역학조사에 따르면 남성에서의 발병률이 다소 높은 것으로 확인
   ③ 사망률/이환율 (Mortality /Morbidity) :
                  과민성 혈관염의 예후는 일반적으로 양호하지만 신장, 소화기, 폐, 신장, 혹은 중추신경계로 이행될 경우에는 사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피부에 국한된 병변이라 할지라도 만성적인 경우에는 궤양이나 통증을 수반하는
                  자반으로 악화되기 때문에 일부 환자들은 재발성 발진으로 인하여 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기도 한다.

2. 진단 (Diagnosis)
과민성 혈관염의 진단은 보통 임상적 소견과 원인약물 또는 원인 감염 질환의 확인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앞에서 언급된 것처럼 피부생검 결과 IgA의 침착이 나타난 경우에는 Henoch-Schonlein 자반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들 두 질환을 구분하기 위한 임상적 기준 또는 제시되고 있다. 최근의 보고에 따르면 다음에 제시된 기준의 2가지 이하에 해당된 경우에는 74%의 정확도로 과민성 혈관염을 밝혀지고 있다.

  ■ 20세 미망의 발병
  ■ 촉지성 자반
  ■ 대장 허혈 (Bowel angina)
  ■ 소화기 출혈
  ■ 혈뇨

3. 병인과 병태생리학 (Etiology & Pathophysiology)
(1) 병인 (Etiology)
현재 과민성 혈관염 환자의 1/3~1/2는 특발성으로 아직 병인을 확정하지 못한 상태이며, 임상에서 과민성 혈관염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밝혀진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약물 : β-lactam계 항생제, Sulfa계 항균제, Phenytoin, Allopurinol이 대표적 [표1 참조]
  ■ 감염질환 : 상부호흡기 감염 (특히, 용혈성포도상구균 감염), 바이러스성 간염, HIV 감염, 콜라겐성 혈관질환,
                   염증성 장질환, 궤양성 대장염, Crohn씨 병
  ■ 식품 및 식품 첨가물 : Cryoglobulins

[표 1] 과민성 혈관염 (Hypersenstivity vasculitis)을 유발하는 약물
분류 상품명 성분·함량 용법 FDA 비고
항생제   Penicillin      
Vibramycin-N tab Doxycline monihydrate 100mg 100mg bid → 100mg qd D  
Rifampin cap/tab Rifampicin 150mg  450~600mg qd ac C  
Rifampicin 600mg 
Gentacin inj Gentamicin 20mg   C 20mg 불용
Gentamicin 80mg
Ciprobay tab/ inj Ciprofloxacin 250mg  250~500mg bid C  
Ciprofloxacin 200mg 200~400mg bid IV
Septrin tab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2tab q 12hrs C/D  
Helocetin inj Chloramphenicol 1g 0.5~1g bud C 품절
  Ampicillin     Unasyn 中 1
  Griseofulvin      
Aclova inj Acyclovir 250mg 5~10mg/kg q 8hrs B  
Zovirax tab Acyclovir 200mg 200mg q6hrs (단순포진)
Yuhanzid tab Isoniazid 100mg 200~400mg qd    
  Ofloxacin      
  Zidovudine      
항암화학
요법제
Alkyloxan inj / tab Cyclophosphamide 200mg 10~15mg/kg/day 7~10days D  
Cyclophosphamide 200mg 1~5mg/kg D 불용
Methotrexate inj/tab Methotrexate 50mg/2mL   D  
Methotrexate 500mg/20mL    
Methotrexate 2.5mg    
Moxafen tab Tamoxifene 10mg 1~2tab bid D  
  Levamisole 50mg 1tab tid    
  Hexamethylene bisacetamide      
  Busulfan      
정신운동활성물질 Etravil tab Amitripityline 10mg 35~75mg # 2~3
 (max:150mg/d)
D  
  Maprotyline      
Trittico tab Trazodone 25mg 150mg/d 시작하여 증량 C  
항응혈제 및
혈전용해제
Heparin inj Heparin 25,000iu/5mL   C  
Warfa tab Warfarin sodium 2mg 2~10mg/day D  
  Streptokinase      
β-agonist Lavopa inj / cap Ritodrine 50mg/5mL 50mg IV infusion / 10mg IM    
Ritodrine HCl 40mg 80~120mg/day B  
  Terbutaline      
항전간제 Orfil tab /syr Sodium valproate 300mg 400~1200mg # 2~3 D  
Sodium valproate 60mg/1mL 20mg/kg/day D  
Valoin inj Sodium valporate 400mg 400~800mg IV infusion
(max: 2,500mg/day)
D  
Phdenytoin cap Phenytoin
(Diphenylhydantoin sodium 100mg)
300~600mg # 3
(max : 600mg/day)
   
Peniton inj Diphenylhydantoin sodium 100mg/2mL 150~200mg slow IV D  
Tegretol CR tab Carbamazepine 200~400mg/day D  
심혈관계
약물
  Procainamide      
이뇨제   Quinidine      
  Atenolol 50mg 50~100mg qd
(max 100mg/d)
D  
  Acebutolol      
Dilteran SR cap Diltiazem 90mg 90mg bid / 180mg qd C  
Herben tab 30mg Diltiazem HCl 30mg 1~2tab tid C  
  Captopril      
Dichlozid tab Hydrohlorothiazide 25mg 25~50mg/day B/D  
Lasix inj /tab Furosemide 20mg/2mL 20~40mg C  
Furosemide 40mg 40mg bid (HT) C  
Cordarone inj /tab Amiodarone 150mg/3mL   D  
Amiodarone 200mg 600mg/day for 8~10days D  
Hydralazine inj Hydralazine 20mg/1mL 20~40mg/회 IM, IV C  
Aldactone tab Spironolactone 25mg 50~100mg # 2~4 D  
  Guanethidine      
  Methyldopa      
NSAID's Aspirin tab Acetylsalicylic acid 100mg 300~325mg/day (MI risk ↓) C/D powder 가능
Aspirin protect tab Acetylsalicylic acid 100mg 300~325mg/day (MI risk ↓) C/D powder 불가
Bufferin tab Aspirin 330mg 2tab bid   생산중단
재고소진후 삭제
Clonac inj Diclofenac 90mg/2mL 90mg     
Brufen syr Ibuprofen 20mg/1mL 600~2400mg # 3~4 B/D  
Inteban spansule cap Indomethacin 25mg 25mg bid ~ tid B/D 생산중단
재고소진후 삭
  Naproxen       
  Tenoxicam      
  Fenbufen      
  Radiocontrast media containing iodine      
  Iron-dextran preparation      
기타 Zyloric tab Allopurinol tab 200~400mg/day (통풍) C  
Imuran tab Azathioprine 50mg 1~1.5mg/kg
(만성활동성관절염)
D 긴급
Tagamet inj Cimetidine 200mg/2mL 200mg q 4~6hrs B  
Tagamet tab Cimetidine 200mg  400mg bid B  
Colchicine tab Colchicine 0.6mg Attack시 : 0.6~1.2mg
예방 : 0.6~1.8mg/day
C  
  D-Penicillamine      
  G-CSF, GM-CSF      
  Gold      
Intron A multidose
pen 18000KIU 
Interferon α-2b 18,000KIU   C  
Diabex tab Metformin 500mg 500~750mg # 2~3
(max : 2500mg/day)
B  
Antiroid tab Propylthiouracil 50mg (ID) 2~6T/day
(MD) 0.5~2T/day
D  
  Retinoids   C  
BCG inj Vaccination with BCG 12mg      
  Vitamin B6      

(2) 병태생리학 (Pathophysiology)
정확한 병태학적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기존의 과민성 혈관염의 병인으로 알려진 순환성 면역복합체가 병태생리학적인 역할을 담당할 QNs 아니라 항호중구 세포질 자가항체 (Antineutrophil cytoplasmic antibody, ANCA), 염증성 매개물질, 내피세포와 다른 부착분자의 기능에 수반되는 국소인자들이 관련된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4. 소아의 과민성 혈관염 (Hypersensitivity vasculitis in children)
소아에서 나타나는 과민성 혈관염은 주로 소혈관에 병변이 나타나는 경우로 분류되며 피부 조직이 약하기 때문에 흔히 괴사성으로 나타나기 쉽다 <표 2 참조>

[표 2] 소아의 괴사성 혈관염의 분류
소혈관병변
백혈구파쇄성 혈관염 Henoch-Schonlein purpura
과민성 혈관염 (Hypersensitivity vasculitis)
ANCA 양성
(Antineutrophil cytoplasmic antobody)
베게너 육아종 (Wegner's granulomatosis)
현미경적 동맥주위염 (Microscopic periateritis)
처커-스트라우스 동맥염 (Churg-Strauss arteritis)
류머티스질환에 의한 2차적 혈관염 피부근염 (Dermatomyositis)
전신성홍반성낭창 (Systemic lupus erythematousus , SLE)
류마티스성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RA)
혼합형 콜라겐성혈관질환 (Mixed collagen vascular disease)
쇼그렌증후군 (Sjogren's syndrome)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2차적 혈관염 간염바이러스
엡스타인바바이러스 (Epstein-Barr virus, EBV)
거대세포바이러스 (Cytomegalovirus)
소혈관~중혈관 병변
결절성 다발성 동맥염 전신적 결절성 다발성 동맥염 (Systemic polyarteritis nodosa)
피부 결절성 다발성 동맥염 (Cutaneous polyarteritis nodosa)
가와사끼병 (Kawasaki disease)  
소혈관, 중혈관, 대혈관 병변
고립형 중추신경계 혈관염 (isolated central nervous system vasculitis)


5. 증상 (Sumptoms)
임상적인 소견으로는 촉지성자반, 점상출혈 (petechiae) 등의 피부병변과 발열, 담마진, 관절통, 림프절병증 등의 전신적 증상을 나타내며 실험실적 소견으로 혈청보체수치 및 적혈구 침강속도가 저하된다. 대부분의 환자는 항원에 노출된 후, 항원-항체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항체를 생성할 수 있는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7~10일 후 임상적 증상이 발현된다. 그러나 2차 항원에 노출된 경우의 잠복기는 2~7일로 단축되거나 장시간 작용형 Benzathine-penicillin의 경우에는 2주 이상으로 연장된다.
내부 표적장기에 병변이 발생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지만 발병되는 경우에는 심각하다. 피부 외 장기에서의 병변 발생빈도는 내부 장기의 정밀검사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예측하기 힘들다.
그러나 사구체신염 (Glomerulonephritis), 간질성 신염 (Interstitial nephritis), 간세포의 손상 등에 대한 보고가 있었으며 드물게 폐, 심장, 중추신경계에 대한 병변도 보고되었다.

  ■ 촉지성자반 (Palpable purpura)
병변은 보통 1~3mm 직경의 구형으로 나타나며 주로 다리, 둔부, 몸체부분에 발생된다. 자반에는 가끔 플라그가 유착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흔히 궤양이 발생된다.

  ■ 담마진성 병변 (Urticarial lesion)
일반적인 담마진과는 다른 양상으로 비교적 장시간 ( > 24hrs) 동안 나타나며 소실 후 색소 침착 또는 반상출혈(ecchymosis)의 흔적을 보인다. 환자는 가려움증 보다는 작열감을 호소한다. 담마진성 혈관염이 발생된 환자의 경우에는 만성폐쇄성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으로 이핼될 수 있으므로 심폐기능을 주의깊게 검진해야 한다.

  ■ 망상(網狀)피반 (Livedo reticularis)
미세혈관염에서의 발현은 드문 편이나 중간 크기 혈관의 염증 또는 혈관폐색환자의 경우 발생률이 높다. 이러한 그물모양의 병변은 immunoglobulin A (IgA)와 관련된 질환에 의한 것으로 제시되기도 한다.

  ■ 결절성 병변 (Nodular lesion)

  ■ 수포 (Bilster)

  ■ 괴사성 궤양 (Necrotic ulcer)

  ■ 점상출혈 (Petechiae)


치료
과민성 혈관염은 특별한 치료없이 원인 약물 또는 항체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수일에서 수추 이내에 증상과 증후를 개선시킬 수 있다. Martinez-Taboada VM 등의 보고에 따르면 95명의 과민성 혈관염 환자 중 약 57%에 해당하는 54명이 다른 특별한 처치없이 회복되었으며 27%인 26명은 NSAIDs, 15%인 14명은 Corticosteroid만을 투여하여 회복되었다. 평균 16개월 간의 추적 검사 결과 2명 만이 경증의 신장병변을 나타낼 뿐 다른 환자는 모두 완전히 회복되었다. 연구자들은 과민성 혈관염은 비교적 양호한 예후를 나타낸다고 제시했다.

1. 치료의 원칙 (Principle of treatment)
환자가 담마진성 병변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1차적으로 항히스타민제를 처방한다. 일부 환자는 NSAIDs에 반응한다. 간염으로 인하여 발생되지 않은 피부병변으로서 보다 심각하거나 난치성일 경우에는 Colchicine이나 Dapsone이 효과적일 수 있다. 때때로 이들 약물 단독 사용 보다는 병용요법 (예 : Dapsone과 Pentoxifylline)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환자가 합병증을 나타내거나 전신적인 질환으로 이행하여 보다 강도 높은 약물 투여가 요구될 경우에는 류머티스 전문의에게 의뢰하여 결정해야 한다. 병변이 전격성 또는 진행성으로 악화될 경우에 대비하기 위하여 고용량 (1~2mg/kg/day)의 Corticosteroid나 면역억제제 (Cyclophosphamide, Azathioprine, Methotrexate)의 사용은 가급적 자제해야 한다.

2. 과민성 혈관염의 치료 약물 (Treatments of Hypersensitivity vasculitis)

성분명 기전 상품명 용법∙용량 상호작용 FDA
Colchicine Colchicum autummale 추출 alkaloid Colchicine tab 0.6mg 0.5~0.6mg bid po 병용시 교감신경효능 약물 또는
골수 억제 약물 독성의 증강
D
0.5mg bid po
Dapsone Sulfon계 항생제   150~200mg qd po Clofazimine의 소염작용 저지 Trimethoprim과의 병용은 두 약물의 독성을 모두 증강
Rifampin 병용시 신청소율을 증가시켜 효능 저하
C
Prednisolone Steroids Solondo tab 5mg 0.05~2mg/kg # 2~4 po (max : 80mg/day) Estrogen 병용시 배설율 감소
Digoxin 병용시 독성 증가
Phenobarbital, Phenytoin, Rifampin 병용시 대사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용량 증가할 필요
이뇨제와 병용시 저칼륨혈증에 대한 모니터링 요구
B
4~5mg/m2 # 2~4 po or 0.05~2mg/kg # 2~4 po
Cyclopho
sphamide
T cell과 B cell 기능 억제 알킬화제 Alkyloxan 50mg ⓣ
Aklyloxan 200mg ⓥ
1~2mg/kg/day po
또는 IV
Allopurinol과 병용시
   출혈, 감염 위험 상승, 골수 억제 작용이 증강
Doxorubicin 유도성 심장독성 증강
Digoxin과 Quinolone계열 항균제 혈중 농도 저하 항응혈제 효능 증강
고용량의 Phenobarbital과 병용시
   대사율 상승, 백혈구 감소작용이 강화될 위험 초래 Thiazide계 이뇨제는   Cyclophosphamide 유도성 백혈구 감소증 연장
  Cholinesterase의 활성 억제 작용으로 신경근차단작용
C
Azathioprine 퓨린대사 길항, RNA와 단백합성 저해 면역관련 세포의 증식을 억제 Imuran tab 50mg            (긴급) 1~2mg/kg/day po Allopurinol 병용시 독성 증가
ACE 저해제와 병용으로 심각한 백혈구 감소증 야기
M.T.X 대사체의 혈중 농도를 상승
항응혈제, 근신경차단제, Cyclosporine 효능 감소
D
Methotrexate (MTX) 염증작용에 대한 작용기전에 밝혀지지 않음. 통증, 부종, 강직감 등 증상 완하 MTX 2.5mg ⓣ
MTX 50mg ⓥ
MTX 500mg ⓥ
10~50mg 주 1회 po, im, iv 활성탄과 동시에 경구투여시
   MTX 흡수 저해작용으로 혈중 농도가 저하
경구용 Retinoid 병용시 간독성 증가
Folic acid 또는 그 유도체가 포함된 종합비타민제 병용
   MTX 효능 저하
NSAIDs와의 병용은 치명적
Phenytoin 혈중 농도를 낮출 수 있다.
Probenecid, Salicylate, Procarbazine, Sulfonamide
   병용시 독성 증가
D
10~25mg 주 1회 po, im, iv
 
약제부 : 051)850-8551~2 / Fax : 051)850-8553